Panasonic Korea Blog

Hub를 중심으로 한 스타형 배선에서 Hub를 없애버리면?

작성자: 파나 엔지니어 | Mar 17, 2025 1:00:00 AM

최근 기계와 설비를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사례가 증가하며 Ethernet 통신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배선이 복잡해지거나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생기기도 합니다.

최근 기계와 설비를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사례가 증가하며 Ethernet 통신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습니다. 에러 정지나 사이클 정지 등 가동 상태를 나타내는 I/O신호 뿐만이 아니라 가공 조건, 파라미터, 로트나 시리얼 번호 등의 생산 정보 전달에 Ethernet 통신이 필수입니다.

일반적으로는 상위 통신을 하기 위해 Hub를 중심으로 한 스타형 배선을 많이 사용합니다. 스타형 배선이란 Ethernet 통신용 Hub를 설치하고, Hub를 중심으로 각 설비의 PLC와 접속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이런 스타형 배선은 LAN 케이블이 비교적 장거리로 연결되기 때문에 케이블 부설이 필요하고, 이에 따라 배선 공사, 작업 공수가 부담이 됩니다.


간단한 배선을 위해 이동 배선을 도입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 방법도 설비 대수 만큼의 Hub, Hub용 전원을 설치하는 비용과 설치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비용이 늘어나 궁극적인 해결책이라고 하기에는 문제가 있습니다.

 

 

설비 공수를 줄이면서 설치 공간을 들지 않는 방법은 없을까요? Hub 없이 모든 설비를 네트워크로 접속할 수 있다면 이런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지 않을까요?

Hub 없이도 이동 배선이 가능한 초소형 PLC, FP0H SERIES를 소개합니다.

 

FP0H 시리즈의 주요 강점은 2포트 Ethernet 입니다.

FP0H 시리즈는 두 개의 Ethernet 포트가 탑재되어 있습니다. 옆 설비와 연결하기만 하면 모든 작업이 끝납니다. 기존의 스타형 배선 방식에서는 장거리 LAN 케이블로 연결했지만 FP0H 시리즈는 이런 과정이 필요 없기 때문에 배선 공사의 작업 공정 수가 크게 줄어듭니다.

또한, 추가적으로 Hub가 필요하지 않고 FP0H만으로 이동 배선이 가능합니다. 기존의 이동 배선과 비교했을 때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시공도 경제적이고, 공간을 차지하지 않기 때문에 유연한 설비 배치와 운영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Ethernet/IP, Modbus-TCP 등 각종 통신 프로토콜에도 대응하고 있습니다. 상위 시스템과 통신이 필요한 설비 제어 PLC가 필요하다면 FP0H 시리즈를 고려해보시기 바랍니다.

 

FP0H 시리즈는 네트워크 통신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초소형 PLC로, 배선 공사와 비용 절감에 큰 기여를 합니다.
공장 자동화에 공수/비용 절감과 공간 사용의 유연성을 높이는 FP0H 시리즈에 대해 더 알고 싶으시다면 언제든지 상담해 주시기 바랍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더욱 유익한 어플리케이션과 기술 정보로 돌아오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사용 기종ㅣ FP0H

☞   제품 특징  

 

☞ 2포트 이더넷으로 이동배선, 배선 공사 작업 공수 절감
☞ Hub 없이 PLC만으로 이동 배선, Hub 도입 비용 절감

☞ Ethernet/IP, Modubus-TCP, MC 프로토콜 대응